산화 스트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화 스트레스는 산화종의 과도한 생성 또는 항산화 방어 체계의 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형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세포 내 분자, 특히 DNA에 손상을 입혀 노화, 암,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발병에 기여할 수 있다. 활성 산소종(ROS)의 생성은 산화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금속 촉매, 비금속 산화환원 촉매, 면역 반응, 남성 불임, 노화, 진핵생물의 기원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과 관련이 있다. 최근에는 COVID-19 관련 심혈관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관련 연구와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츠하이머병 -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는 독일의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병리학자로,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 원섬유 엉킴을 발견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특징을 밝혀냈으며, 브로츠와프 대학교에서 정신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알츠하이머병 - 김영수 (1978년)
김영수(1978년)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연세대학교 교수 및 아밀로이드솔루션(주)의 최고 과학 책임자(CSO)를 겸임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생명과학자이다. - 화학병리학 - 젖산 탈수소효소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또는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해당 과정과 코리 회로에서 작용하며, 5가지 동질효소 형태로 존재하고, 혈청 내 수치는 조직 손상 지표로 사용되며, 암세포 에너지 대사 및 유전 질환과도 관련되어 그 기능과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화학병리학 - 질량 분석법
질량 분석법은 시료를 이온화하여 질량 대 전하 비에 따라 분리하고 검출하는 분석 기법으로, 이온원, 질량 분석기, 검출기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노쇠 - 죽음
죽음은 생명 활동의 영구적 종식으로 의학, 법, 사회, 종교, 심리, 생물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며, 전통적인 심폐사 외에 뇌사도 죽음으로 인정되고, 개발도상국은 전염병, 선진국은 노화 관련 질병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문화와 종교에 따라 다양한 이해와 관습이 존재하고, 수명 연장, 냉동 보존술, 존엄사, 안락사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노쇠 - 미토콘드리아 DNA
미토콘드리아 DNA(mtDNA)는 세포 호흡에 필수적인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이중 가닥 환상 DNA로서, 동물의 경우 약 16,000개의 염기쌍과 37개의 유전자로 구성되며, 모계 유전, 높은 돌연변이율, 질병 및 노화와의 연관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산화 스트레스 | |
|---|---|
| 산화 스트레스 | |
![]() | |
| 정의 | 산화제와 항산화제 사이의 불균형으로 산화제가 우세한 상태 |
| 관련 화학종 | 슈퍼옥사이드(O₂⁻) 과산화수소(H₂O₂) |
| 질병 관련 | ADHD 파킨슨병 라포라병 죽상경화증 심부전 심근경색 조현병 양극성 장애 취약 X 증후군 겸상 적혈구병 편평태선 백반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 만성 피로 증후군 주요 우울 장애 |
| 세포 기능 | 세포 신호 전달 세포 사멸 자가포식 |
| 활성 산소종과 질병 | |
| 활성 산소종 | 활성 산소종은 세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불안정한 분자임. |
| DNA 손상 | 활성 산소종은 DNA 가닥 파괴를 유발하고, 이는 종양 발생을 촉진할 수 있음. |
| 산화 스트레스의 역할 | |
| 질병 | 만성 염증 심혈관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암 |
| 세포 과정 | 세포 신호 전달, 세포 사멸, 자가포식에 영향을 미침. |
| 면역 | 면역 세포를 통한 미생물 사멸에 기여. |
| 노화 |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단백질 손상 세포 노화에 영향 |
| 산화 스트레스의 이점 | |
| 미토호르메시스 | 적당한 스트레스는 유익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음. 세포 손상에 대한 저항력 향상 세포 기능 개선 |
| 식물에서의 역할 | |
| 식물 신호 전달 | 활성 산소종은 식물 발달과 환경 스트레스 반응에 중요한 역할 스트레스 신호 전달에 참여 식물 방어 반응에 영향 |
2. 화학적 및 생물학적 작용
화학적으로 산화 스트레스는 산화종 생성량의 증가 또는 글루타티온 등의 항산화제 방어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21] 산화 스트레스의 영향은 이러한 변화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세포는 작은 변화를 극복하고 원래 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심각한 산화 스트레스는 세포 사멸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간 정도의 산화는 세포자멸사를 유발할 수 있는 반면, 더 강한 스트레스는 괴사를 유발할 수 있다.[22]
이온화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은 산화 스트레스와 유사하며, 이러한 병변은 노화와 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 또는 산화에 의한 단일 염기 손상(예: 8-옥소구아닌 및 Thymine glycol|티민 글리콜영어)의 생물학적 효과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25] 쥐의 소변에서는 세포당 약 74,000개의 산화 DNA 부가체가 매일 배설된다.[26] 어린 쥐의 세포에는 약 24,000개, 늙은 쥐의 세포에는 약 66,000개의 산화 DNA 부가체가 존재한다.[26]
인간의 세포는 KEAP1이라는 단백질로 산화 스트레스를 감지하고, 전사인자 Nrf2 등에 의해 다양한 방어를 시도한다.[112]
2. 1. 활성 산소종 (ROS)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은 산화 스트레스의 특히 파괴적인 측면이다. 활성산소종에는 자유 라디칼과 과산화물이 포함된다. 슈퍼옥사이드와 같이 반응성이 낮은 일부 활성산소종은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이 금속 또는 퀴논과 같은 다른 산화환원 순환 화합물과 반응하여 세포에 광범위한 손상을 줄 수 있는 더 공격적인 라디칼 종으로 전환될 수 있다.[23] DNA 손상은 산화 스트레스의 장기적인 영향 중 하나이다.[24] 이온화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은 산화 스트레스와 유사하며, 이러한 손상은 노화와 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옥소구아닌 및 Thymine glycol|티민 글리콜영어과 같은 단일 염기 손상의 생물학적 효과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25]| 산화제 | 설명 |
|---|---|
|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 많은 자동 산화 반응과 전자 전달계에 의해 생성되는 O2의 단일 전자 환원 상태이다. 다소 반응성이 낮지만 철-황 단백질과 페리틴으로부터 Fe2+를 방출할 수 있다. 자발적으로 또는 효소 촉매에 의해 H2O2를 형성하기 위해 불균등화 반응을 거치며, 금속 촉매 •OH 형성의 전구체이다. |
| H2O2, 과산화 수소 | O2-의 불균등화 또는 O2의 직접 환원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 전자 환원 상태이다. 지용성이므로 막을 가로질러 확산될 수 있다. |
| •OH, 수산화 라디칼 | 펜톤 반응 및 과산화질산염의 분해에 의해 형성되는 삼중 전자 환원 상태이다. 매우 반응성이 높으며 대부분의 세포 구성 요소를 공격한다. |
| ROOH, 유기 히드로퍼옥사이드 | 지질 및 핵염기와 같은 세포 구성 요소와의 라디칼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
| RO•, 알콕시 및 ROO•, 퍼옥시 라디칼 | 산소 중심 유기 라디칼. 지질 형태는 지질 과산화 반응에 참여한다. 이중 결합에 대한 라디칼 첨가 또는 수소 빼앗김에 의해 산소 존재 하에 생성된다. |
| HOCl, 하이포아염소산 | H2O2로부터 미엘로페록시다아제에 의해 형성된다. 지용성이고 반응성이 높다. 싸이올기, 아미노기 및 메티오닌을 포함한 단백질 구성 요소를 쉽게 산화시킨다. |
| ONOO-, 과산화질산염 | O2-와 NO• 사이의 빠른 반응에서 형성된다. 지용성이며 하이포아염소산과 유사한 반응성을 갖는다. 양성자화는 과산화질산을 형성하며, 이것은 호몰리틱 분열을 거쳐 수산화 라디칼과 이산화 질소를 형성할 수 있다. |
위 표는 다음을 바탕으로 수정되었다.[38][39][40]
2. 2.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산화
다가불포화지방산, 특히 아라키돈산과 리놀레산은 자유 라디칼과 일중항 산소 산화의 주요 표적이다.[29][33][30] 조직과 세포에서 리놀레산의 자유 라디칼 산화는 13-히드록시-9''Z'',11''E''-옥타데카디엔산, 13-히드록시-9''E'',11''E''-옥타데카디엔산, 9-히드록시-10''E'',12-''E''-옥타데카디엔산(9-EE-HODE), 및 11-히드록시-9''Z'',12-''Z''-옥타데카디엔산과 4-히드록시노네날의 라세미 혼합물을 생성한다. 반면, 일중항 산소는 리놀레산을 공격하여 (추정되지만 아직 라세미 혼합물로 입증되지 않은) 13-히드록시-9''Z'',11''E''-옥타데카디엔산, 9-히드록시-10''E'',12''Z''-옥타데카디엔산, 10-히드록시-8''E'',12''Z''-옥타데카디엔산 및 12-히드록시-9''Z''-13-''E''-옥타데카디엔산을 생성한다(13-히드록시옥타데카디엔산 및 9-히드록시옥타데카디엔산 참조).[29][33][30] 아라키돈산에 대한 유사한 공격은 다양한 이소프로스탄, 히드로퍼옥시- 및 히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염, 그리고 4-히드록시알케날을 포함한 훨씬 더 많은 생성물을 생성한다.[33][31]이러한 생성물의 많은 부분은 산화 스트레스의 지표로 사용되지만, 리놀레산에서 유래된 생성물이 아라키돈산 생성물보다 훨씬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리놀레산 유래 생성물은 죽상 동맥 경화반 등에서 더 쉽게 식별하고 정량화할 수 있다.[32] 특정 리놀레산 생성물은 특정 유형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지표로 제안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라세미 9-HODE 및 9-EE-HODE 혼합물의 존재는 리놀레산의 자유 라디칼 산화를 반영하는 반면, 라세미 10-히드록시-8''E'',12''Z''-옥타데카디엔산 및 12-히드록시-9''Z''-13-''E''-옥타데카디엔산의 존재는 리놀레산에 대한 일중항 산소 공격을 반영한다.[30][29] 리놀레산 및 아라키돈산 생성물은 지표 역할 외에도 조직 및/또는 DNA 손상에 기여할 수 있지만,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기능을 하는 경로를 자극하는 신호로도 작용한다.[33][34][35][36][37]
2. 3. 산화제 및 설명 (표)
| 산화제 | 설명 |
|---|---|
| •O|2|-영어,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 많은 자동 산화 반응과 전자 전달계에 의해 생성되는 의 단일 전자 환원 상태이다. 다소 반응성이 낮지만 철-황 단백질과 페리틴으로부터 를 방출할 수 있다. 자발적으로 또는 효소 촉매에 의해 를 형성하기 위해 불균등화 반응을 거치며, 금속 촉매 •OH 형성의 전구체이다.[38][39][40] |
| , 과산화 수소 | 의 불균등화 또는 의 직접 환원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 전자 환원 상태이다. 지용성이므로 막을 가로질러 확산될 수 있다.[38][39][40] |
| •OH, 수산기 라디칼 | 펜톤 반응 및 과산화질산염의 분해에 의해 형성되는 삼중 전자 환원 상태이다. 매우 반응성이 높으며 대부분의 세포 구성 요소를 공격한다.[38][39][40] |
| ROOH, 유기 히드로퍼옥사이드 | 지질 및 핵염기와 같은 세포 구성 요소와의 라디칼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38][39][40] |
| RO•, 알콕시 및 ROO•, 퍼옥시 라디칼 | 산소 중심 유기 라디칼. 지질 형태는 지질 과산화 반응에 참여한다. 이중 결합에 대한 라디칼 첨가 또는 수소 빼앗김에 의해 산소 존재 하에 생성된다.[38][39][40] |
| HOCl, 하이포아염소산 | 로부터 마이엘로퍼옥시다제에 의해 형성된다. 지용성이고 반응성이 높다. 티올기, 아미노기 및 메티오닌을 포함한 단백질 구성 요소를 쉽게 산화시킨다.[38][39][40] |
| ONOO-, 과산화아질산염 | 와 NO• 사이의 빠른 반응에서 형성된다. 지용성이며 차아염소산과 유사한 반응성을 갖는다. 양성자화는 과산화질산을 형성하며, 이것은 호몰리틱 분열을 거쳐 수산기 라디칼과 이산화 질소를 형성할 수 있다.[38][39][40] |
정상적인 인간의 상태에서 활성산소의 한 원천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적 인산화 과정 중 활성산소가 누출되는 것이다.[41] 초과산화물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효소로는 크산틴 산화효소, NADPH 산화효소 및 시토크롬 P450이 있다. 과산화수소는 여러 가지 산화효소를 포함한 다양한 효소에 의해 생성된다. 활성산소종은 세포 신호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을 산화환원 신호 전달이라고 한다. 따라서 적절한 세포 항상성을 유지하려면 활성산소 생성과 소비 사이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42][43]
산화 스트레스는 루게릭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우울증,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과 자폐증과 같은 신경 발달 장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5][46][47]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 증가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의 신경 퇴행성 질환과 관련이 있다.[50]
3. 산화제의 생성과 소비
가장 잘 연구된 세포 항산화제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OD), 카탈라아제 및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이다. 덜 연구되었지만(아마도 똑같이 중요할) 효소 항산화제로는 퍼옥시레독신과 최근에 발견된 술피레독신이 있다.
4. 질병
산화 스트레스는 플라크 형성에 영향을 주어 특정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54] 뇌졸중, 심장 마비를 포함하는 허혈 연쇄 반응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만성 피로 증후군(ME/CFS),[51] 당뇨병에도 관여한다. 혈액암에서 활성 산소종은 면역 세포의 기능을 방해하여 암세포의 면역 회피를 촉진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독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52][53]
산화 스트레스는 D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돌연변이원성을 가지며, 세포자멸사를 억제하고 전이를 촉진하여 암 발생에 관여한다.[54]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또한 위암 발생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5] 유리기나 과산화물 등을 포함한 활성산소는 산화 스트레스의 부정적 측면 중 하나인데, 이들은 장기적으로 DNA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111]
4. 1. 알츠하이머병과 산화적 DNA 손상
뉴런에서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DNA 손상은 알츠하이머병 병리에 기여할 수 있다.[2] 뉴런 전구 세포에서 DNA 손상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Aβ40 및 Aβ42의 분비 증가와 관련이 있다.[56] 이러한 연관성은 산화적 DNA 손상과 Aβ 축적 사이에 인과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2] 알츠하이머병은 초기 단계부터 취약한 뉴런 및 신경교 세포 집단에서 DNA 손상(이중 가닥 절단)의 축적과 관련이 있으며,[57] 알츠하이머병 뇌의 해마에서 DNA 이중 가닥 절단은 비-알츠하이머병 대조군 뇌보다 증가한다.[58]
5. 항산화 보충제
일부 질병 예방을 위한 항산화제 사용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59] 흡연자와 같은 고위험군에서는 고용량의 베타카로틴이 폐암 발생률을 증가시켰는데, 이는 흡연으로 인한 높은 산소분압과 함께 고용량의 베타카로틴이 산소 분압이 높을 때는 프로옥시던트 효과를, 산소 분압이 높지 않을 때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60][61] 고위험군이 아닌 경우에는 비타민 E를 사용하면 심장병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62] 그러나 비타민 E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중년에서 고령의 남성과 여성의 관상동맥 심장병 위험이 감소할 수 있지만, 비타민 E 보충제를 사용하면 전반적인 사망률, 심부전 및 뇌출혈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는 항산화 비타민 및 기타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 섭취는 권장하지만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비타민 E 보충제 사용은 권장하지 않는다.[63]
6. 금속 촉매
철, 구리, 크롬, 바나듐, 코발트와 같은 금속은 전자를 주고받는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활성산소종 생성을 촉매한다.[75] 이러한 금속이 생체 내에서 단백질 등에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존재하면 산화 스트레스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금속들은 과산화 수소로부터 하이드록실 라디칼이 생성되는 펜톤 반응과 하버-바이스 반응을 유도한다.[76]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아미노산을 변형시키는데, 예를 들어 페닐알라닌이 수산화 반응을 통해 메타-티로신과 오르토-티로신으로 변형된다. 지질 과산화 및 핵염기의 산화도 일어난다. 금속 촉매 산화는 아르기닌, 라이신, 프롤린, 트레오닌의 비가역적 변형을 일으켜 단백질 분해 또는 응집을 유발한다.[77][78]
7. 비금속 산화환원 촉매
금속 산화환원 촉매 외에도 특정 유기 화합물이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종류 중 하나는 퀴논이다. 퀴논은 자신과 결합된 반퀴논 및 하이드로퀴논과 산화환원 순환을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산소로부터 슈퍼옥사이드 또는 슈퍼옥사이드로부터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촉매할 수 있다.
8. 면역 방어
면역계는 산화제의 치명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산화종 생성을 병원체 사멸 메커니즘의 중심 부분으로 만든다. 활성화된 식세포는 활성 산소종과 활성 질소종을 모두 생성한다. 여기에는 초과산화물(•O₂⁻), 일산화질소(•NO) 및 그들의 특히 반응성이 높은 생성물인 과산화질산염(ONOO⁻)이 포함된다.[80] 식세포의 세포독성 반응에서 이러한 고반응성 화합물을 사용하면 숙주 조직이 손상되지만, 이러한 산화제의 비특이성은 표적 세포의 거의 모든 부분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장점이 된다.[40] 이는 단일 분자 표적의 돌연변이를 통해 병원체가 이러한 면역 반응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9. 남성 불임
산화 스트레스는 정자 DNA 단편화의 주요 원인이며,[81] 정자 DNA 단편화 수치가 높은 남성은 임신 성공률이 현저히 낮아 남성 불임의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진다.[81] 산화적 DNA 손상 지표인 8-옥소-2'-데옥시구아노신(8-oxo-2'-deoxyguanosine)의 높은 수치는 비정상적인 정자 및 남성 불임과 관련이 있다.[82]
10. 노화
조기 노화 쥐 모델에서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DNA 손상은 정상적으로 노화되는 대조군 쥐보다 신피질과 해마에서 상당히 높았다.[83] 수많은 연구에 따르면 산화 스트레스의 산물인 8-옥소-2'-데옥시구아노신의 수치는 쥐, 랫트, 저빌 및 인간의 뇌와 근육 DNA에서 나이가 들면서 증가한다.[84] 산화적 DNA 손상과 노화의 연관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노화의 DNA 손상 이론 문서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플루오로퀴놀론 항생제인 에녹사신이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함으로써 선충 ''C. elegans''에서 노화 신호를 감소시키고 수명 연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85]
유리기나 과산화물 등을 포함한 활성산소의 발생은 산화 스트레스의 매우 큰 부정적 측면 중 하나이다. 방사선에 의한 DNA 손상은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것과 유사하며, 이러한 손상은 노화와 암과 깊은 관련이 있다.
11. 진핵생물의 기원
약 24억 5천만 년 전, 대산소사건이 시작되면서 산소가 지구 대기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고대 미세 환경에서 시아노박테리아의 광합성으로 인한 산소 수치 증가는 주변 생물군에게 매우 유독했을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선택적 압력은 고세균 계통의 진화적 변형을 최초의 진핵생물로 이끌었다고 생각된다.[86] 산화 스트레스는 자외선 방사선 및/또는 건조와 같은 다른 환경적 스트레스와 상승 작용을 하여 이러한 선택을 주도했을 수 있다. 산화적 DNA 손상의 효율적인 복구에 대한 선택적 압력은 세포 세포융합, 세포골격 매개 염색체 이동 및 핵막의 출현과 같은 특징을 포함하는 진핵생물의 유성 생식 진화를 촉진했을 수 있다.[86] 따라서 감수분열 유성 생식과 진핵세포 발생은 산화적 DNA 손상의 복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진화한, 상당 부분 분리할 수 없는 과정이었을 수 있다.[86][87][88]
12. COVID-19와 심혈관계 손상
산화 스트레스가 COVID-19의 심장 합병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14][89][90] 산화 스트레스는 화학적으로 산화종 생성량의 증가 또는 글루타티온 등의 항산화 방어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109]
13. 한국의 산화 스트레스 연구 및 정책 동향
(빈칸)
참조
[1]
서적
Handbook of Disease Burdens and Quality of Life Measures
Springer New York
[2]
학술지
DNA strand breaks in human leukocytes induced by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and tumor promoters are repaired slowly compared to breaks induced by ionizing radiation
1986-09-00
[3]
학술지
Oxidative Stress and ADHD: A Meta-Analysis
2015-11-00
[4]
학술지
Role of oxidative stress in Parkinson's disease
2013-03-00
[5]
학술지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impaired antioxidant response in Lafora disease
2015-00-00
[6]
학술지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2007-00-00
[7]
학술지
Atherosclerosis and oxidative stress
2008-03-00
[8]
학술지
Oxidative stress and heart failure
1995-00-00
[9]
학술지
Oxidative stress mediates cardiac infarction aggravation induced by intermittent hypoxia
2013-06-00
[10]
학술지
N-acetyl cysteine restores brain glutathione loss in combined 2-cyclohexene-1-one and d-amphetamine-treated rats: relevance to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2011-07-00
[11]
학술지
Alpha-tocopherol prot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the fragile X knockout mouse: an experimental therapeutic approach for the Fmr1 deficiency
2009-03-00
[12]
학술지
Red blood cells, platelets and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of patients with sickle cell disease exhibit oxidative stress that can be ameliorated by antioxidants
2006-01-00
[13]
학술지
Oxidative stress in lichen planus
2010-00-00
[14]
학술지
Oxidative stress in the blood of patients with active localized vitiligo
2008-03-00
[15]
학술지
Metabolic biomarkers of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impaired methylation capacity in children with autism
2004-12-00
[16]
학술지
Oxidative stress levels are raised in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are associated with clinical symptoms
2005-09-00
[17]
학술지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before and after antidepressant treatment: results from a meta-analysis
2015-12-00
[18]
학술지
How neutrophils kill microbes
2005-00-00
[19]
학술지
Stress-response hormesis and aging: "that which does not kill us makes us stronger"
2008-03-00
[20]
학술지
Reactive Oxygen Species in Plant Signaling
2018-04-00
[21]
학술지
Redox environment of the cell as viewed through the redox state of the glutathione disulfide/glutathione couple
2001-06-00
[22]
학술지
Dose-dependent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tumour cell lines by widely diverging stimuli
1991-03-00
[23]
학술지
Metals,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2005-00-00
[24]
학술지
Factors contributing to the outcome of oxidative damage to nucleic acids
2004-05-00
[25]
학술지
Mutational specificity of gamma-radiation-induced guanine-thymine and thymine-guanine intrastrand cross-links in mammalian cells and translesion synthesis past the guanine-thymine lesion by human DNA polymerase eta
2008-08-00
[26]
학술지
DNA oxidation matters: the HPLC-electrochemical detection assay of 8-oxo-deoxyguanosine and 8-oxo-guanine
1998-01-00
[27]
학술지
ATP converts necrosis to apoptosis in oxidant-injured endothelial cells
1998-10-00
[28]
학술지
Oxidative stress inhibits apoptosis in human lymphoma cells
1999-07-00
[29]
학술지
Singlet-oxygen-derived products from linoleate activate Nrf2 signaling in skin cells
2015-02-00
[30]
학술지
Chemistry of lipid peroxidation products and their use as biomarkers in early detection of diseases
[31]
학술지
Non-enzymatic lipid oxidation products in biological systems: assessment of the metabolites from polyunsaturated fatty acids
https://hal.archives[...]
2014-08-00
[32]
학술지
Fatty acid oxidation products in human atherosclerotic plaque: an analysis of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correlates
2003-03-00
[33]
학술지
Signaling and cytotoxic functions of 4-hydroxyalkenals
2010-12-00
[34]
학술지
Bioactive lipoxygenase metabolites stimulation of NADPH oxidase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2011-07-00
[35]
학술지
Isoprostanes and neuroprostanes: total synthesis, biological activity and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in humans
https://hal.archives[...]
2013-12-00
[36]
논문
Signaling properties of 4-hydroxyalkenals formed by lipid peroxidation in diabetes
2013-12-01
[37]
논문
Cyclooxygenase- and lipoxygenase-mediated DNA damage
2011-12-01
[38]
서적
Oxidative Stress
Academic Press
2020-01-01
[39]
서적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f Parasites
Academic Press
1995-01-01
[40]
논문
Oxygen toxicity,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disease: biochemical implications in atherosclerosis and the problems of premature neonates
[41]
논문
Are respiratory enzymes the primary sources of intracellular hydrogen peroxide?
2004-11-01
[42]
논문
Mechanism of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by fumarate reductase, succinate dehydrogenase, and aspartate oxidase
2002-11-01
[43]
논문
Pathways of oxidative damage
[44]
논문
Coupling oxidative signals to protein phosphorylation via methionine oxidation in Arabidopsis
2009-08-01
[45]
논문
Oxidative damage in multiple sclerosis lesions
2011-07-01
[46]
논문
Nuclear transport, oxidative stress, and neurodegeneration
2011-03-01
[47]
논문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 clinical features and perspectives
2017-08-01
[48]
논문
Involvement of oxidative stress in Alzheimer disease
2006-07-01
[49]
논문
Oxidative stress in schizophrenia
2011-06-01
[50]
논문
Reactive oxygen/nitrogen species and their functional correlation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2012-08-01
[51]
논문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 chronic fatigue syndrome: recent developments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2006-08-01
[52]
논문
cROSsing the Line: Between Beneficial and Harmful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B-Cell Malignancies
[53]
논문
Dual effect of oxidative stress on leukemia cancer induction and treatment
2014-12-01
[54]
논문
Oxidative stress and cancer: have we moved forward?
2007-01-01
[55]
논문
Redox biology and gastric carcinogenesis: the role of Helicobacter pylori
[56]
논문
DNA Damage Increases Secreted Aβ40 and Aβ42 in Neuronal Progenitor Cells: Relevance to Alzheimer's Disease
2022-01-01
[57]
논문
Early neuronal accumulation of DNA double strand breaks in Alzheimer's disease
2019-05-01
[58]
논문
DNA Double-Strand Break Accumulation in Alzheimer's Disease: Evidence from Experimental Models and Postmortem Human Brains
2021-01-01
[59]
논문
Safety of antioxidant vitamins
1996-05-01
[60]
논문
Antioxidant vitamins and risk of lung cancer
[61]
논문
Antioxidant and prooxidant roles for beta-carotene, alpha-tocopherol and ascorbic acid in human lung cells
2001-02-01
[62]
논문
Vitamin E and heart disease: basic science to clinical intervention trials
2000-01-01
[63]
논문
Vitamin E and cardiovascular disease
[64]
논문
Vitamin C and vitamin E for Alzheimer's disease
2005-12-01
[65]
논문
Vitamin E in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lzheimer's disease
2004-12-01
[66]
논문
NXY-059: review of neuroprotective potential for acute stroke
2006-03-01
[67]
논문
Aging and resistance to oxidative damage in Caenorhabditis elegans
1993-10-01
[68]
논문
Genetics of aging in the fruit fly, Drosophila melanogaster
[69]
논문
Glucose restriction extends Caenorhabditis elegans life span by inducing mitochondrial respiration and increasing oxidative stress
2007-10-01
[70]
논문
Mechanisms of aging: an appraisal of the oxidative stress hypothesis
2002-09-01
[71]
논문
Role of oxidative stress and protein oxidation in the aging process
2002-07-00
[72]
논문
Theories of biological aging: genes, proteins, and free radicals
2006-12-00
[73]
논문
Mortality in randomized trials of antioxidant supplements for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7-02-00
[74]
웹사이트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Selected Foods, Release 2 (2010)
https://www.ars.usda[...]
[75]
서적
Interplay between Metal Ions and Nucleic Acids
Springer
[76]
서적
Studies on Experimental Toxicology and Pharmacology
Springer
2015-00-00
[77]
논문
Protein carbonylation, cellular dysfunction, and disease progression
2006-00-00
[78]
논문
Oxidative stress and covalent modification of protein with bioactive aldehydes
2008-08-00
[79]
논문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2004-10-00
[80]
논문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inter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mmalian hosts and microbial pathogens
2000-08-00
[81]
논문
Sperm DNA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modifiable clinical, lifestyle and nutritional factors in male infertility
2014-06-00
[82]
논문
Comparison of oxidative stress/DNA damage in semen and blood of fertile and infertile men
2013-00-00
[83]
논문
Increased macromolecular damage due to oxidative stress in the neocortex and hippocampus of WNIN/Ob, a novel rat model of premature aging
2014-06-00
[84]
서적
New Research on DNA Damages
https://www.novapubl[...]
Nova Science Publishers, Inc.
2008-00-00
[85]
논문
Enoxacin extends lifespan of C. elegans by inhibiting miR-34-5p and promoting mitohormesis
2018-09-00
[86]
논문
Uniting sex and eukaryote origins in an emerging oxygenic world
2010-08-00
[87]
서적
Biocommunication of Archaea
Springer
2017-00-00
[88]
논문
How oxygen gave rise to eukaryotic sex
2018-02-00
[89]
논문
Redox imbalance in COVID-19 pathophysiology
2022-10-00
[90]
논문
COVID-19 and cardiovascular injury: A role for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treatment?
2020-08-00
[91]
논문
Oxidative Stress and ADHD: A Meta-Analysis
2015-11-00
[92]
논문
Atherosclerosis and oxidative stress
2008-03-00
[93]
논문
Role of oxidative stress in Parkinson's disease
2013-03-00
[94]
논문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impaired antioxidant response in Lafora disease
2015-00-00
[95]
논문
Oxidative stress and heart failure
1995-00-00
[96]
논문
Oxidative stress mediates cardiac infarction aggravation induced by intermittent hypoxia
2013-06-00
[97]
논문
N-acetyl cysteine restores brain glutathione loss in combined 2-cyclohexene-1-one and D-amphetamine-treated rats: relevance to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2011-07-00
[98]
논문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2007-00-00
[99]
논문
Red blood cells, platelets and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of patients with sickle cell disease exhibit oxidative stress that can be ameliorated by antioxidants
2006-01-00
[100]
논문
Alpha-tocopherol prot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the fragile X knockout mouse: an experimental therapeutic approach for the Fmr1 deficiency.
[101]
논문
Oxidative stress in lichen planus
2010-00-00
[102]
논문
Oxidative stress in the blood of patients with active localized vitiligo
2008-03-00
[103]
논문
Metabolic biomarkers of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impaired methylation capacity in children with autism
2004-12-00
[104]
논문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before and after antidepressant treatment: results from a meta-analysis
2015-12-00
[105]
논문
Oxidative stress levels are raised in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are associated with clinical symptoms
2005-09-00
[106]
저널
Plasma antioxidant capacity is reduced in Asperger syndrome
2012-03-01
[107]
저널
How neutrophils kill microbes
2005-01-01
[108]
저널
Stress-response hormesis and aging: "that which does not kill us makes us stronger"
2008-03-01
[109]
저널
Redox environment of the cell as viewed through the redox state of the glutathione disulfide/glutathione couple
[110]
저널
Dose-dependent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tumour cell lines by widely diverging stimuli
[111]
저널
Metals,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2005-01-01
[112]
웹사이트
酸化ストレスを感知する仕組みを解明~何重にも張り巡らされたストレス感知のための巧妙な仕組み~
https://www.tohoku.a[...]
2020-01-13
[113]
저널
DNA strand breaks in human leukocytes induced by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and tumor promoters are repaired slowly compared to breaks induced by ionizing radiation
1986-01-01
[114]
저널
COVID-19 and cardiovascular injury: A role for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treatment?
2020-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